폭염시 농작물 등 관리요령 및 농업인 행동요령 | ||||||||||
---|---|---|---|---|---|---|---|---|---|---|
작성자 | 농소1동 | 작성일 | 2025-07-03 | |||||||
? 관개용수 충분할 경우 물 흘러대기를 실시하며, 규산과 가리를 증시한다. * 벼 생육 최고온도 : 감수분열기 38℃, 개화?수정기 35℃ ? 스프링클러 가동 및 짚?풀 등으로 밭작물 뿌리 주위를 피복하여 토양수분 증발 및 지온상승을 억제한다. * 콩 개화?수정기 35℃이상에서 생육장해를 받아 꼬투리와 콩알의 생성 억제시작 ? 사전 배토작업 실시, 건조 우려시 표토를 긁어주어 수분증발을 억제한다. ? 폭염 지속시 고온성 해충의 발생이 증가하므로 사전에 방제를 실시한다. (콩 담배거세미나방 등) ? 관수 실시로 토양 적습을 유지하고, 생육부진시 엽면시비를 실시한다. ? 비가림 재배포장 차광망을 설치하고, 병해충 방제를 한다. ? 탄저병, 역병, 진딧물, 담배나방 등 병해충 방제를 실시한다. ? 과수의 경우 고온시 착색이 불량하므로 미세살수장치 가동 ? 관수를 실시하고, 볏짚 등으로 과원 피복하여 수분증발을 억제시킨다. ? 일소과가 많은 과원은 봉지를 씌우거나 탄산칼슘(크레프논, 칼카본) 200배액, 카올린 등을 3~4회 살포하여 과피를 보호한다. ? 환기창이나 통풍창을 크게 설치하여 축사 내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 시킨다. ? 시원한 물을 충분히 먹인 후 소금을 급여하고, 양질 조사료 급여와 농후사료 급여비율을 높여준다. ? 단열, 차광막 및 송풍시설을 설치한다. ? 기호성이 높은 사료를 급여하고, 시원한 물을 자주 갈아주고 충분한 물을 공급 한다. ? 계사 천장에 단열재를 설치 및 환기시설, 선풍장치를 가동한다. ? 적정 사육밀도를 유지하고, 시원한 물을 급여하고, 계사주변 풀, 나무를 심어 그늘을 조성한다.
? 시설하우스에 원활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비상용 자가 발전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중요 ? 비상용 디젤엔진 자가 발전기를 설치할 수 없는 소규모 농가 - 이동이 가능한 소형 가솔린 발전기를 구비해 양액공급, 관수, 환기창 개폐 등의 구동작업을 할 수 있도록 대비 ? 비상용 자가 발전기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 - (비가 오지 않을 때) 이른 아침부터 옆 창과 천창을 열어 정전에 대비하고 밤에도 창을 닫지 않는 것이 좋음 - 차광률이 30∼50%인 차광망을 설치해 고온피해에 대비 - (한낮에 시설 내 온도가 높을 경우) 동력 분무기 등을 이용해 물을 뿌려 주어 온도 상승 억제
? 더위가 심한 것을 말하며, 인체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폭염에 대한 특보를 내리고 있습니다.
? 집에서 가까운 병원이나 보건소의 연락처를 확인 ? 냉방기기 사용시 실내?외 온도차를 5℃내외로 유지(건강온도 26~28℃) ? 휴식시간은 장시간보다 짧게 자주 가지기 ? 시설하우스나 야외 작업시 통풍이 잘되는 작업복을 착용 ? 작업중 매 15~20분 간격으로 1컵 정도의 시원한 물과 염분(물 1L에 소금1/2 작은술)을 섭취하여 탈수증 예방 ? 12시~17시(오후 5시) 사이에는 야외, 시설하우스 작업 금지, 휴식 취하기 ? 거동이 불편한 고령, 신체허약자, 환자 등은 외출을 금지시키고 가족 및 친척·이웃이 수시로 건강상태를 점검
|
이전글 | 거주불명등록자 행정상 관리주소 이전 1차 공고 |
---|---|
다음글 | 2025년 한부모가족 종합가이드북 안내 |
만족도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