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예방관리
100세까지 생생하게 함께가는 북구보건소
  • 홈으로
  • 사업안내
  • 치매예방관리
사업안내

치매예방관리

  • 프린트하기
  • 즐겨찾기
검사 아이콘
어르신들의 치매 예방·조기발견을 위해 조기검진 및 치료비 지원을 제공해 드립니다.

치매예방관리사업

목적

  • 치매 상담, 조기검진, 환자 관리, 인지 프로그램 운영, 지역사회 자원 연계 등 유기적 「치매통합관리서비스」 제공으로 치매 예방, 조기발견, 중증화 억제 및 사회적 비용 경감으로 환자 및 가족의 삶의 질 향상

이용안내

  • 대상 : 치매환자 및 가족, 지역주민
  • 시간 : 월요일 ~ 금요일(09:00~18:00)
  • 장소 :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등록관리

  • 초기상담 및 심층상담, 1:1 개인별 맞춤형 사례관리
  •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발급
    - 지원대상 : 치매환자 및 실종 위험이 있는 만 60세 이상 어르신
    - 구비서류 : 신청서 및 동의서(보건소 비치), 발급대상자 사진, 발급대상자 및 보호자 신분증(확인용),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주민등록등본
  • 치매환자 배회감지기 “스마트지킴이1/스마트지킴이2” 대여
    - 지원대상 : 배회증상으로 실종이 우려되는 재가 치매환자
    - 사업내용 : GPS기반 배회감지기 대여 및 본인부담금 지원
    - 구비서류 : 진단서 또는 상병코드 기재된 처방전, 주민등록등본, 복지용구급여확인서(장기요양등급자에 한함)
    - 배회감지기 손목밴드형 스마트지킴이1, 스마트지킴이2 2종 택일
    - 배회감지기 대여 본인부담금 지원 내용
    GPS 배회감지기이용 본인부담금 지원 내역
    대상자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원금액 본인부담금 지원액
    키코 스마트지킴이1 스마트지킴이2 키코 스마트지킴이1 스마트지킴이2
    장기요양 등급자 본인부담률 0% 9,600원 18,400원 16,100원 - - -
    6% 9,030원 17,300원 15,140원 570원 1,100원 960원
    9% 8,740원 16,750원 14,660원 860원 1,650원 1,440원
    15% 8,160원 15,640원 13,690원 1,440원 2,760원 2,410원
    장기요양 미등급자 - - - 10,560원 20,240원 17,710원

    * 열쇠고리형 키코는 기기단종

  • 치매환자 조호물품 지원
    • 지원대상 : 치매안심센터 등록 재가치매환자(시설입소자 지원 제외)
    • 지원종류 : 기저귀 및 물티슈
    • 제공기간 : 조호물품 신청일 기준 최대 1년까지 제공 (단,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대상자는 연장가능)
  •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 지원대상 : 치매치료제를 복용중인 치매환자
    • 지원내역 : 치매약제비 및 약 처방 당일 진료비 보험금여분 중 본인부담금
    • 지원금액 : 월 3만원(연36만원) 한도
    • 구비서류 : 치매진단코드와 치매치료제가 포함된 약 처방전(신청일 기준 1년 이내 발급), 대상자의 주민등록등본, 대상자 명의 통장 사본, 대리인 신청시 위임장 및 가족관계증명서
    • 선정기준 :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선정기준
      연령기준 만 60세 이상인 자(초로기치매도 지원 가능)
      진단기준 의료기관에서 치매로 진단 받은 자(상병코드 F00~F03, G30, G31, G31.82, F10.7 중 하나 이상 포함)
      소득기준 [2025년 치매치료관리비 지원대상 건강보험료 본인부과액 기준] (단위 : 원)
      2025년 치매치료관리비 지원대상 건강보험료 본인부과액 기준 - 가구원수(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7인, 8인, 9인),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가구원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7인 8인 9인
      직장
      가입자
      102,613
      (115,901)
      168,410
      (190,219)
      215,933
      (243,896)
      261,360
      (295,206)
      302,462
      (341,631)
      354,964
      (400,932)
      386,684
      (436,760)
      431,294
      (487,147)
      461,699
      (521,489)
      지역
      가입자
      22,380
      (25,278)
      105,787
      (119,486)
      151,146
      (170,719)
      208,471
      (235,468)
      260,307
      (294,017)
      320,449
      (361,947)
      357,963
      (404,319)
      411,250
      (464,507)
      447,279
      (505,202)
      '2023년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대상 건강보험료 본인 부과액 기준
      가구원수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1인 102,613
      (115,901)
      22,380
      (25,278)
      2인 168,410
      (190,219)
      105,787
      (119,486)
      3인 215,933
      (243,896)
      151,146
      (170,719)
      4인 261,360
      (295,206)
      208,471
      (235,468)
      5인 302,462
      (341,631)
      260,307
      (294,017)
      6인 354,964
      (400,932)
      320,449
      (361,947)
      7인 386,684
      (436,760)
      357,963
      (404,319)
      8인 431,294
      (487,147)
      411,250
      (464,507)
      9인 461,699
      (521,489)
      447,279
      (505,202)
      ( )안은 노인장기요양보험료 포함 금액

조기검진

조기검진 개요
  검진항목 대상 비고
1단계 선별검사(CIST)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로 진단 받지 않은 모든 주민 보건소(무료)
2단계 진단검사
(신경인지검사, 치매척도검사)
선별검사결과
‘인지저하’로 판정된 자,
치매 의심증상자
보건소(무료),
협약병원 실시
(기준 중위소득 120%이하 검진비 지원)
3단계 감별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뇌영상촬영)
진단검사결과,
치매로 진단받은 자
협약병원 실시
(기준 중위소득 120%이하 검진비 지원)
치매 조기검진은 예약(전화예약) 우선으로 검사 진행됩니다.
예약 및 사전 문의 : ☎ 052-241-8257

교육지원

교육지원 개요
구분 치매환자 쉼터 치매예방교실 가족교실 자조모임
대상 장기요양서비스
신청 대기자 및 미신청자,인지지원등급자
만 60세 이상 지역주민 치매환자의 가족 및 경도인지저하 환자의 가족 치매환자의 가족
횟수 주 2회 주 1회 주 1회 상시 운영
장소 2층 쉼터 2층 교육실 2층 가족카페
내용 작업치료 (현실인식훈련, 인지자극훈련 등) 치매예방교육 (인지활동, 운동, 공예 등) 치매정보제공 및 주제별 교육, 힐링프로그램 등 돌봄 사례공유

문의

  • 오늘 방문자633
  • 전체 방문자7577654